Abstract


 

Class and Gender in Pak Hwasŏng’s “Sewer Construction”

박화성의 "하수도 건설"에서의 계급과 성

Chiyeon Hwang 황지연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While the New Woman movement in early modern Korea advocated for women’s education, sexual autonomy, and economic independence, the socialist women’s movement focused on liberation for all women through the social-class lens. The socialist women writers presented an alternative trajectory to women’s liberation through criticism of capitalist modernity in their counter-narrative of the patriarchal and imperialist dominance under colonization. By emphasizing the plight of working class, they strengthened their feminist position in ways that were overlooked during the liberal feminist movement. Thus, by broadening feminism to be more inclusive and intersectional, socialist women writers produced ruptures in the patriarchal ideology ingrained in the nationalist discourses within the colonial context.

Pak Hwasŏng (1904-1988) was among the first group of socialist women writers i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whose works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the 1930s socialist women’s movement. Her stories embody central themes of working-class women’s issues and address problems that emerged with modernization under colonial rule, specifically the labor and exploitation of women. In “Sewer Construction” (Hasudo kongsa, 1932), Pak highlights Korean intellectuals’ conflict between socialist ideals and personal desires through the portrayal of young socialists’ class-consciousness and reveals a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camaraderie between socialist men and women. While some may view the female protagonist’s actions aligning with the patriarchal rhetoric of a woman’s sacrificial love, this paper argues the ways in which Pak’s story disrupts the dominant nationalist ideology that venerates women’s domesticity. Simultaneously, the narrative also transcends the prevalent notion of incompatibility between socialists’ romantic and revolutionary commitments and, instead, promotes a more progressive interpretation of solidarity. Through this disruption, Pak’s narrative elicits a space for women to challenge the dynamics of gender and class in colonial Korea.

 

근대 초기 한국의 신여성운동은 여성교육, 성적 자율성, 경제적 자립을 옹호했는데, 당시 사회주의 여성운동은 사회 계급적 시각으로 여성의 해방에 초점을 맞추었다. 당시 사회주의 여성 작가들은 식민지 시대의 가부장제와 제국주의 지배에 대항하는 서사 속에서 근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여성 해방의 대안적 앞날을 제시했다. 이들은 자유주의 페미니즘 운동이 간과한 노동 계급의 곤경을 강조함으로써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했다. 따라서 사회주의 운동에서 페미니즘의 지평을 확대함으로써 사회주의 여성작가들은 식민지 시대 민족주의 담론에 뿌리 박혀 있던 가부장주의에 파열음을 냈다.

박화성 (1904-1988)은 1930년대 한국 근대 문학에서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초기 여성작가 집단의 일원이었다. 그녀의 작품들은 노동계급 여성들의 핵심 문제와 식민지 시대 근대화와 함께 제기됐던 문제들, 특히 여성의 노동 착취 문제를 부각시켰다. 그녀의 작품 “하수도 공사” (1932)에서 젊은 사회주의자들의 계급 의식을 묘사함으로써 당시 지식인들이 사회주의 이상과 개인적 욕구 사이에서 느꼈던 갈등을 강조했다. 그리고 동지애와 사회주의 여성들의 실제적 경험을 좀 더 현실적으로 그렸다. 일부에서는 이 이야기의 여자 주인공의 행동이 여성의 희생적 사랑이라는 가부장적 수사에 부합한다고 보는 반면, 박화성의 이야기는 여성의 가부장성을 존중하는 민족주의 사상의 지배담론을 뒤흔들었다. 동시에 그녀의 내러티브는 낭만주의와 혁명적 헌신은 공존할 수 없다는 당시의 지배적 관념을 초월해서 연대에 관해 좀 더 진보적으로 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박화성의 서사는 식민지 시대 지배담론을 흔들면서 여성이 성과 계급 사이의 역동성에 도전할 여지를 이끌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