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ense of Identity of the Intellectual Woman and the Fear of "Modern Girl": A Review of Socialist Female Consciousness in Human Problem by Kang Kyŏng-ae

인텔리겐차 여성의 자의식과 ‘모던 걸’의 공포:『인간문제』에 나타난 강경애 사회주의 여성의식 재고(再考)

Song Inhwa 송인화
Hansei University

Human Problem is a novel that was published in Donga ilbo from August of 1934 to December. It was considered the best socialist novel under Japanese colonization. Kang Kyŏng-ae wrote it based on the socialistic ideology or Marxism that had captured the society of Korean intellectuals in the 1930s. It was well received as a work of "a masculine style" in her time and has been accepted as a novel by a "non-female writer" since the 1980s. Lately, it has been regarded as "the best realism novel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Human Problem has been accepted as not only the most developed and mature of Kang's works but also the highest social-views work of the day. It has been admired as the most developed of her works and having overcome the unskilled technique and the immature abstaction of earlier works.

Research on Kang's works is active. Until now, studies have been done in two ways: analyzing the realistic meaning of the works in terms of criticism of realism and clarifyng female consciousness in a view of feminism. In the former case, the typicality of characters, the events, and the spaces was positively assessed, so that the artistic and ideological achievements were highly evalu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study has been divided into two points, one positive and one negative,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view. The study that focused on the lower classes and the space, Jiandao, was accepted as the work of the socialistic women's lib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tudy that focused on female peculiarity analyzed Human Problem and all her works as novels that couldn’t overcome the patriarchal consciousness. Researchers have criticized Kang Kyŏng-ae as a writer who didn’t have female consciousness or an awareness of women’s liberation from the first. Recent feminist researchers have overcome such a feminist view that regarded women as a secondary element in the 1990s, and they have been analyzing and assessing the gender-consciousness of the work with the current point of view.

There is a problem in such realism study in that makes a judgment that the achievement of socialism is the same as the maturity of female consciousness. They couldn’t read clearly the gender suppression inherent in socialism. On the other hand, as the women’s point of view reads socialism as the suppression of patriarchal system, it has also showed the structural or essentialist limitation. As a woman brings in the only entity, such study has been showing a general error that denies all female consciousness in the works by Kang Kyŏng-ae based on socialism.

In any case, it is a problem in that the priori judgment for socialism is superior to the complete dissection. This article tries to express the change and the meaning of the female consciousness in Human Problem compared with Mother and Daughter. Human Problem shows a significant change from Mother and Daughter, published before marriage to Jang Ha-il, a socialism activist, before going to Jiando. This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examining the level and content of socialist female consciousness, showing that the comrade martial life and the socialism that have been promoted through that relationship had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Kang’s world view. Through that, this study can show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socialism contributed to women’s liberation in the 1930s.

 

『인간문제』는 1934년 8월부터 12월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던 장편소설로 식민지 시기 최고의 사실주의 소설로 평가 받고 있다. 30년대 한국 지식인 사회를 강하게 사로잡았던 사회주의 혹은 마르크시즘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는 이 작품은 여성작가의 소설로는 보기 드물게 당대부터 ‘남성적 작가’의 작품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된 80년대 이후 ‘여성작가가 아닌 작가’의 소설로, 나아가 ‘일제강점기 최고의 리얼리즘 소설’로 인정받았다. 『인간문제』는 사회주의 이념을 당대 수준에서 가장 수준 높게 구현한 소설일 뿐만 아니라 작가의 창작활동 중 발전적 성숙을 정점에서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전 작품의 기법상의 미숙함과 사상적 관념성을 극복하고 사회주의 이념을 완미하게 성취한 최고의 발전적 소설로 상찬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만큼 작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데 지금까지 연구는 크게 리얼리즘 비평의 관점에서 작품의 사실주의적 의미를 해명하는 경우와,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여성의식을 분석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전자의 경우 『인간문제』에 나타난 인물, 사건, 공간이 보여주는 전형성을 높이 평가하면서 작품의 예술적, 사상적 성취를 높게 평가하는 반면, 여성의식을 해명하는 연구는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긍정과 부정으로 나뉜다. 하층민이라는 계급과 간도라는 공간에 주목하는 연구는 사회주의 여성해방 소설로서 의미를 높게 인정하는 반면, 여성의 고유성을 강조하는 연구는 『인간문제』는 물론 강경애 소설 전체를 남성적 시각에 물든, 가부장적 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소설로 해부한다. 강경애를 애초부터 여성의식이나 여성해방의식을 갖지 않은 작가로 비판하는 것인데 최근의 이러한 여성주의적 관점은 여성을 부차적인 요소로 간주했던 90년대 리얼리즘 연구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작품의 여성의식을 현재적 관점에서 적극 분석, 평가하고 있다.

계급성을 강조하는 연구의 경우 사회주의 이념의 성취와 여성의식의 성숙을 동질적인 것으로 판단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인간문제』이 이룩한 사회주의 이념의 형상적 성취를 여성의식의 성숙과 동일시함으로써 사회주의 이념에 내재된 젠더 억압성을 제대로 읽지 못한다. 반면 사회주의 이념을 또 다른 남성중심적 시스템의 억압으로 읽는 여성주의 시각 역시 구조주의적 혹은 본질주의의 한계를 보여준다. ‘여성’을 유일한 실체로 상정함으로써 사회주의 이념을 기초로 한 강경애 소설의 여성의식 전체를 부정하는 오류를 보여주는 것이다.

어느 경우든 작품에 대한 정밀한 분석보다는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선험적 판단이 앞서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본 연구는 『인간문제』에 나타난 여성의식을 탐구함에 있어 이전 작품인 『어머니와 딸』과의 비교를 통해 그것이 보여준 변화와 그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인간문제』은 강경애가 사회주의 운동가인 장하일과 결혼하기 전, 그리고 간도로 이주하기 전에 발표한 『어머니와 딸』과 여성의식에 있어 상당히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동지관계로 맺어진 부부생활과, 그로 인해 공고해진 사회주의 이념이 작가의 세계관에 중요한 변화를 야기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회주의 여성의식의 수준과 내용을 점검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국 1930년대 사회주의 이념이 여성해방에 기여한 공로와 한계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