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ecoming Diaspora: Family, Gender, and Migration in O Chŏng-hŭi’s “The Monument Intersection”

디아스포라 되기: 오정희의 "불망비"에 나타난 가족, 젠더, 이주에 관하여

Ji Young Kim 김지영
Queens Colleg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The Monument Intersection,” O Chŏng-hŭi’s lesser-known novella of 1983, chronicles a family’s saga under the political and social turbulence spanning Korea’s colonial period to the foreign occupation after the 1945 liberation. While the fiction traverses twentieth-century Korean history via the story of a Korean family, it also sympathetically foregrounds the uprooted people of various ethnic groups, including Chinese, Japanese, and Russian.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fictional narrative weaves the characters’ lives with the nation’s historical moments as well as how it portrays the region north of the 38th parallel, occupied by the Soviet Army, a rare setting in South Korean literature. Further, this paper attends to the representations of women’s diasporic lives.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la join the diaspora in order to protect family, both pushed to leave their hometowns or to remain in a hostile country. The paper argues that “The Monument Intersection” criticizes violence in a male-dominant society that uproots people from their homes and that by depicting women’s lives emphasizes solidarity in diaspora beyond the border of nation-states.

 

오정희의 잘 알려지지 않은 중편소설 "불망비 (不忘碑)" (1983)는 한국의 식민지 시기부터 1945년 해방 이후의 외세 점령이라는 정치 사회적 격변기를 살아내는 한 가족의 연대기를 그리고 있다. 이 소설은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20세기 한국 근대사를 관통하는 서사적 전략을 취하고 있으면서도, 한국인 이외의 다양한 이민족들의 유랑하는 삶에 주목하고 있다. 이 논문은 "불망비"의 서사가 국가의 역사적 순간 속에서 개개인의 삶의 굴절을 그려내는 방식을 살펴보며, 특히 남한 문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해방기 소군정 하에서의 38선 이북 지역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검토한다. 나아가 이 논문은 적대국에 체류하거나 고향을 떠나야 하는 등 가족을 지키기 위해 디아스포라적 삶을 사는 소설 속 여성 인물들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오정희의 "불망비"가 사람들을 타지로 내모는 남성중심적 세계의 폭력성을 비판하며, 여성 인물들의 삶을 통해 배타적인 민족주의를 넘어선 디아스포라 간의 연대적 의식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조명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