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Minority’s History and Survival

마이너리티들의 역사와 생존: 공선옥론

Kim Eunha 김은하
Humanitas College, Kyunghee University

Kong Sŏn-ok is the first author who has talked about mothers’ life that didn’t appear in the history of Korean female literature. The life of mother/woman has been placed in the front of her early novel, [Pieora Suseonhwa (1994)], [The alibi of my life (1998)], which didn’t belong to the category of rank and didn’t present in the history. The mothers’ history has localized the history of a woman/mother of Jeolla-do. A great number of women in the novel were from Jeolla-do, who were the outsiders neglecting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the nation and their own kind. They had inherited the poverty in her father’s blood and got married to the poor man as much as her as it was like the exchange economy. However, far from being a trustable guardian replacing their father, their husband/lover couldn’t take their own life while they tumbled to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The women’s story was the life of outsiders who took care of their children single-handed without anybody’s help and the protection of the nation.

The mothers of a fatherless family were the survivors in that they went through too many risks to die and to collapse. They took their hard life with their children without social assistance. They said that “my life was going steadily downhill.” The reason why they kept going their hard life feeling suicidal was the scary reality that the children were completely helpless and only mothers could keep their children, not because of belief and hope. The maternal instinct was a heavy burden and at the same times was a power to keep going their life. The women of Kong Sŏn-ok obtained the depth and width of the great maternal instinct beyond the maternal instinct as institutional sexual norm of middle class women, through sympathy for not only the abandoned and lonely life without aid in the world but also their own blood.

On the other hand, Kong Sŏn-ok has showed the radicalness to dissolve the ideology of the myth of maternal instinct through the persecution that women suffered because mothers disclosed their untamed femininity or their lack of virginity. The heroines of her novel were the used women or the concubines who received finger-pointing. When they were young, they sold their body because of hard work in the factory, when they become the mothers; they were the subaltern who planned survival, selling their body in a night cellar under the stairs. This is the note of Kong Sŏn-ok’s novel to prevent women’s illegal and immoral life from a patriarchal sexual norm or a moral compass. The mothers of Kong Sŏn-ok’s novel, who longed for love because of hunger and loneliness, criticized the myth of maternity instinct with loftiness and exposed the hypocrisy of virginity and a moral sense.

 

공선옥은 한국여성문학사에서 거의 최초로 아버지들의 대문자 역사 속에 가려진 어머니들의 시간을 이야기하고 있는 작가이다. 『피어라 수선화』(1994), 『내 생의 알리바이』(1998) 등 초기의 문제작에서 그녀는 민중이라는 계급적 범주의 이름에도 온전히 묶인 적이 없이 역사의 공백으로 남겨져 있는 어머니/여성의 삶을 소설의 전경에 위치시킨다. 어머니들의 역사는 다시 전라도 여성/어머니의 역사로 지역화되는 측면이 있다. 소설 속 다수의 여성들은 한국의 현대사에서도 국가와 동족으로부터도 가장 홀대받은 주변부인 전라도 출신이다. 아버지에게서 가난을 물려 받은 이들은 가난의 교환 경제인 양 자신만큼이나 가난한 남자를 만나 가족을 이룬다. 그러나 이들의 남편/애인들은 아버지를 대신해 든든한 보호자가 되어주기는커녕 광주 항쟁 같은 사건에 휘말려 온전히 삶을 살아내지 못한다. 혼자 남아 어느 누구의 원조도 국가의 보호도 없이 아이를 돌보며 버텨온 여성들의 이야기는 역사의 기록 속에 누락된 주변부인의 삶이다.

모자 가정의 어미들은 수없이 많은 죽음과 붕괴의 고비를 겪어 왔다는 점에서 생존자이다. 이들은 “내 생은 쭈욱 악화일로였다”고 할만큼 사회적 원조를 받지 못한 채 아이들과 고단한 삶을 꾸려 간다. 그녀들이 자멸의 충동 속에서도 삶을 지속할 수 있었던 것은 내일은 좋아질 것이라는 믿음과 희망때문이 아니라 아이들은 철저하게 무력하며, 그들을 지켜 낼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어미인 자신밖에 없는 무서운 현실때문이다. 모성은 그녀에게 무거운 짐이자 위태롭게나마 삶을 이어가게 만드는 동력인 것이다. 공선옥의 여성들은 제 피붙이만이 아니라 세상의 원조를 받지 못한 채 버려진 외로운 생명들에 대한 연민과 공감을 통해 중산층 여성의 제도적 성규범으로서 모성성을 초과하는 대자적 모성의 넓이와 깊이를 획득해 간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공선옥은 어머니의 순치되지 않은 여성성을 드러내거나 혹은 순결하지 않기 때문에 여성들이 겪은 박해를 통해 모성 신화의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급진성을 보여준다. 그녀의 여주인공들은 곡절이 많은 인생사로 인해 ‘일부종사’를 하지 못한 이혼녀이거나 사회의 손가락질을 받는 ‘첩’이다. 그녀들은 처녀 시절에 공장에서 노동을 하는 게 고되고 외로워 성매매를 하고 어머니가 된 후에는 계단 깊은 지하의 술집을 운영하며 몸을 팔아 생존을 도모하는 써발턴들이기도 하다. 이렇듯 여성들의 불법적이거나 도덕과 거리가 먼 삶에 대해 가부장적 성 규범이나 도덕의 잣대로 들이 밀 수 없게 만드는 것이 공선옥 소설의 특징이다. 배가 고프기 때문에 마음도 외로워 사랑을 갈망하는 공선옥의 어머니들은 숭고 담론으로서 모성 신화를 비판하며 가부장적 순결과 도덕 관념의 위선성을 폭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