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Historic Milestones, Gender Questions, and the Genealogy of Korean Women Writers in Modern Times

역사적 이정표, 젠더 문제, 그리고 현대 한국 여성작가의 계보

Seo Jung-Ja 서정자
Chodang University

This essay attempts to sketch a genealogy of modern Korean female writers. I analyze each author’s treatment of gender in her works according to historical signposts and construct an overall genealogical understanding of Korean female literary history. A genealogy of female writers will clearly reveal the traditions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female authors and their respective works of fiction. When women first began writing at the beginning of modern literature in the early 1900s, they would have experienced absolute oppression in the completely male-centric society and value system within which they lived. Commonly held beliefs that men were superior in all regards to women, and that women must obey their fathers, then their husbands, and finally their sons from birth until death were deeply embedded in patriarchal, Confucian Chosŏn society. Both out in society and at home, women existed as others and had no rights to speak about their own identities, gender, marriage, family structure, or aging. The advent of modern education brought women and girls out of the home, and resultantly the curtain was raised on Korean women’s literary history. Astonishingly, these early female writers produced novels that upended common prejudices and misconceptions which assumed that their works would be typical of women's writing and deal only with petty domestic issues, trivial affairs, and love stories without engaging in important historical or political problems of the day. Author Kim Myŏng-sun writes about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d by women at the hands of their husbands; author Na Hye-sŏk rejected the demands of her father to marry, and in her writing depicts a daughter of a "new woman" who seeks to save the nation. These authors understand their own lives and gender issues as inextricably linked, and within their novels they interrogate the surrounding society, the times they live in, and women's problems through the critical lens of gender.

The surprising success of these novels is attributable to the writers’ adoption of both the creeds of Western female liberation while also expressing a proletarian conviction to uplift their weak nation—two intellectual traditions that greatly influenced their work. For example, the "Noraism" feminist movement and the writings of Swedish feminist Ellen Key were highly influential on their thought. In this way, although Korean female writers were born into a harsh and repressive environment, they fought against the oppression of the old society and the domination of Japanese colonialism with a sense of history and their own subjectivity while actively integrating topical and social issues into their works.

These novels that are endowed with historical consciousness only grew more distinct in their gendered awareness as they passed through the periods of the liberation, the Korean War, and after. During the thirty years of oppression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the history of women's writing encompassed anti-government and anti-system discourse while dealing with timely issues and social problems through a deft treatment of gender politics. This essay looks closely at the last one hundred years of Korean women’s literature and locates the official/historical vision emerging from within their works—and traces these landmark moments from colonial times up until today. Afterward, I select the representative writers and works from each period and trace the tradition of each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authors to be discussed are Na Hye-sŏk, Pak Hwa-sŏng, Kang Kyŏng-ae, Ch'oe Chŏng-hŭi, Han Mu-suk, Kang Sin-jae, Pak Kyŏng-ni, Pak Wan-sŏ, Yun Chŏng-mo, O Chŏng-hŭi, Ch'oe Yun, Kong Chi-yŏng, Kong Sŏn-ok, Sin Kyŏng-suk, Kim In-suk, and others.

 

이 글은 한국 현대 여성작가의 계보를 작성해보고자 쓰인다. 역사적 이정표에 따라 작가가 젠더 문제를 어떻게 작품화하고 있는지 살펴 여성 작가를 계보화해 보고자 한다. 여성작가의 계보화는 한국여성작가와 소설이 어떠한 전통과 특색을 지녔는지 선명하게 드러내 줄 것이다. 현대 문학이 시작되는 1900년대 초 한국여성이 처한 상황은 조선조 유교적 가부장제가 사회에 뿌리 깊게 고착되어 남존여비 여필종부 내외법 삼종지도 칠거지악 등 남성 중심주의 제도와 가치관이 여성들을 절대적으로 억압하고 있었다. 사회와 가정에서 여성은 타자화한 존재로 자기 정체성, 젠더, 결혼, 가족제도, 노인 문제 등에 아무런 발언권이 없었다. 현대의 신교육은 여성들을 집 밖으로 나오게 했고 이들에 의해 여성소설은 그 서막이 올랐다.

놀랍게도 초기여성 작가들은 우리가 항용 여류문학의 특색이라고 말해지는 가정 안의 하찮은 사사로운 이야기와 애정 문제 따위에 치중하고 공적 이슈나 역사/정치적 상황에 극히 둔감하거나 몰이해 하다는 편견 오해 착오를 떨쳐내는 소설을 들고 나왔다. 김명순은 남성 중심주의의 성적폭력으로 희생된 여성의 이야기를 썼고 나혜석은 아버지가 강요하는 결혼을 거부하고 국가를 구하는 여성을 지향하는 신여성 딸을 그렸다. 그들은 스스로의 삶과 젠더문제가 불가분리의 관계에 있음을 인지하고 시대와 사회 그리고 여성의 문제를 젠더적 시각으로 다시 보고 이를 소설화하였다.

이러한 놀라운 문학적 성과는 여성 작가들이 당시의 서구 여성해방 사상의 수입과 약소민족을 구하리라 믿은 프롤레타리아 사상 등 시대적 사상으로 무장을 한데도 원인이 있었다. 그 대표적 사상으로 노라이즘과 엘렌케이 사상을 들 수 있다. 이렇듯 한국여성 작가들은 조선조의 엄혹한 여성억압의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구 사회제도의 억압과 일제식민지 지배의 부당함에 저항하고 주체의식과 역사의식을 가지고 시대와 사회적 이슈를 그들의 문학에 적극적으로 소설화하여 대응하였다.

이러한 역사의식을 담보한 여성 작가의 소설은 해방기나 한국전쟁기, 그리고 전후에 이르기까지도 이어져 척박한 현실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젠더적 인식이 더욱 뚜렷하여지는 소설을 낳는다. 시대는 군사정부의 억압기가 30여 년이나 이어지는 가운데 반정부 반체제 담론과 젠더 정치학의 등장으로 시대적 이슈와 사회적문제를 소설화하는 여성소설의 전통은 더욱 뚜렷하고 풍부하게 되어갔다, 이 글은 여성소설 1백 년을 거쳐오는 동안 숨겨진 여성작가들의 작품 내에서 면면히 흐르는 공적/역사적 비전, 노력을 일제강점기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획기적인 사건(landmark event)으로 시대구분을 지은 다음 이 시기에 따라 대표 여성 작가들과 작품을 선정, 그 역사의식의 전통을 추적한다. 주로 다룰 작가는 나혜석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 한무숙 강신재 박경리 박완서 윤정모 오정희 최윤 공지영 공선옥 신경숙 김인숙 등이다.